이광수의 단편소설이다.
鳳兒[봉아]야, 네가 이 世上[세상]을 떠난지 벌써 나흘이 지났구나. 문소리가 날 때마다 혹시나 네가 들어 오는가 하고 고개를 돌린다. 한길 가에서 지나가는 전차와 자동차를 보고 섰는가, 장난감 가게에서 갖고 싶은 장난감을 못 사서 시무룩하고 섰는가, 대문간에 동네 아이들을 모아 가지고 딱지치기를 하는가. 잠깐 어디 나가 있다가 금시에 「엄마, 엄마, 엄마」하고 뛰어 들어올 것만 같구나.
그렇지만, 아아, 나는 분명히 네 몸에 수의를 입히고, 네 말 없는 입에 쌀 세 알을 물리고 너를 솔나무 널로 짠 관에 넣고, 그 위에 「愛兒李鳳根[애 아이봉근] 安息之處[안식지처]」라는 명정을 내 손으로 써서 분명히 미아리 묘지에 내다가 묻었다. 횡대를 덮고 회 섞은 흙을 덮고 다지고, 그리고 봉분을 이루고 들어 왔으니 네가 「아빠 아빠 아빠」하고 뛰어 들어 올 리는 영원히 없을 것이다.
그러하건마는, 내 아들아, 너를 잃은 슬픔으로 어리석어진 이 아비의 마음에는 아직도 네가 영원히 갔다고는 믿어지지를 아니하는구나. 금시에 대문 밖에서 혹은 아랫방에나 혹은 건넌방에서나 또 혹은 뒤꼍에서나 「아빠 아빠, 하나님이 어디 계셔 응, 아빠?」하고 성큼성큼 뛰어 나와서 내 어깨에 매어달릴 것만 같구나.
이광수(李光洙: 1892-1950?)
평북 정주 출생. 호는 춘원(春園). 일본 와세다 대학 철학과 수학 중 동경 2·8 독립 선언을 주도. <조선 청년 독립단 선언서> 기초. 상해 <독립신문> 편집 주관. <조선일보>, <동아일보> 등에 관계함. '수양 동우회 사건'으로 투옥됨. <조선 문인 협회> 회장 역임. 1909년 <백금학보(白金學報)에 <애(愛)>를 발표한 이후 1917년 장편소설 <무정>을 <매일신보>에 연재하여 폭발적인 호응을 얻었으며 신문학 초창기에 선구적 역할을 했다.
이광수는 최남선과 함께 언문일치의 신문학 운동을 전개하여 한국 근대 문학의 여명을 이룩한 공헌자로 평가받고 있으며, 초기 한국 문단의 성립을 주도했다는 혁혁한 공적을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그는 말기에 변절하여 친일적 태도를 보였다는 점에서 부정적 측면을 지닌 작가이기도 하다. 그의 작품 세계는 대중적인 성향을 띄면서도 계몽주의적·이상주의적 경향을 지니고 있는데 지나친 계몽 사상으로 인해 설교적인 요소가 많다.
주요 작품으로는 <어린 희생>, <무정>, <소년의 비애>, <어린 벗에게>,<개척자> <무명> <마의태자>, <단종애사>, <흙>, <유정>, <사랑> 등 다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