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1778

치악산

이인직 | 도디드 | 1,000원 구매
0 0 605 2 0 61 2014-01-28
<치악산>은 이인직의 1908년 작품으로 양반 사회의 부패를 비롯한 폐습의 타파와 고부간의 갈등을 형상화한 신소설이다. 이 작품은 상·하 양편으로 되어 있는데, 상편은 이인직의 작품으로 1908년에 출간되었으며 하편은 김교제의 작품으로 1911년에 출간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치악산>은 계모를 중심으로 한 가정 비극에다 개화 풍조가 함께 얽힌 작품으로, 그 주제는 계모를 둘러싼 고부간의 갈등, 갑오 경장 이후의 신·구 사조의 대립, 신교육 사상의 고취, 미신 타파 및 보복, 하층 계급의 반발 의식 등이 다각도로 다루어져 있다. 계모 문제의 비극성은 가부장제 하의 대가족 제도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한 한국 가정에 있어서 항다반(恒茶飯)으로 가정 불화의 화근이 되..

은세계

이인직 | 도디드 | 1,000원 구매
0 0 738 2 0 89 2014-01-28
이 작품은 1908년에 발표되어 <원각사(圓覺社)>에서 창극(唱劇)으로 공연되기도 했으며, 크게 전반부와 후반부로 나뉘어 있다. 전반부의 내용은 이인직의 독창적인 창작이 아니라 전래하던 판소리 <최병두 타령>을 개작한 것이며, 후반부에 주인공인 옥남, 옥순 남매의 이야기를 창작하여 덧붙인 신소설이다. 전반부의 특징은 <농부가>, <나무꾼 노래>, <상두 소리> 등 삽입 가요가 들어 있는 판소리 사설 형태를 지니고 있으며, 후반부에서는 영웅 소설의 성격을 보여 준다. 그리고 내용은 부패와 학정으로 양민을 수탈하는 양반 관료에 대한 평민 최병도의 현실 고발과 항거로 일관되어 있으며, 후반부에서 미국 유학에 의한 신교육의 필요성을 열렬히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귀의 성

이인직 | 도디드 | 1,000원 구매
0 0 781 2 0 71 2014-01-28
<혈의 누>에 이어 발표된 이 작품은 신소설의 초기 작품 중의 하나이며, <은세계>와 더불어 수작(秀作)으로 평가되고 있다. 주제나 사건의 참신성은 다소 부족한 면이 있으나, 작품의 저변에 흐르는 현실 의식, 저항 의식은 높이 살 수 있다. 즉, 갑오경장 이후 몰락해 가는 양반 계급의 가정적 갈등을 매개로 하여, 이에 대한 피지배 계급의 항거 등은 근대적인 문학 세계를 보여 준다. 신소설 가운데 가장 많은 독자를 확보한 이 작품은, 기법면에 있어서도 고대소설의 정석에 속하는 설화투가 없어지고 장면 묘사가 허두에 놓여 있는 것이 특징이다. 김동인이 그의 <한국 근대 소설고>에서 이미 그 문학사적 의의를 언급했듯이 이 소설은 상당 부분이 근대소설의 한 단면에 속하는..

혈의 누

이인직 | 도디드 | 1,000원 구매
0 0 974 2 0 125 2014-01-28
이인직 ( 李人稙 )이 지은 신소설. 작자의 대표적 신소설로, 상편은 1906년 7월 22일부터 같은 해 10월 10일까지 50회에 걸쳐 ≪ 만세보 萬歲報 ≫ 에 장편소설로 연재되었고, 하편에 해당하는 〈 모란봉 牡丹峰 〉 은 1913년 ≪ 매일신보 ≫ 에 연재되다가 미완성으로 끝나, 전편이 그대로 출간된 바는 없다. 단행본으로 처음 발간된 것은 1907년 3월에 광학서포(廣學書 孃 )에서 발행한 〈 혈의 누 〉 이나, ≪ 만세보 ≫ 연재분과 내용에 있어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그 뒤 1912년 12월에 동양서원(東洋書院)에서 〈 모란봉 〉 이라는 제목으로 정정본이 출간되었다. 작품 내용은 청일전쟁의 전화(戰禍)가 평양 일대를 휩쓸었을 때, 일곱 살 난..

전제자

김동인 | 도디드 | 500원 구매
0 0 727 2 0 76 2013-12-28
김동인의 단편소설 전제자 무엇인지 모를 꿈을 훌쩍 깨면서 순애는 히스테리칼하게 울기 시작하였다. 꿈은 무엇인지 뜻을 모를 것이다. 뜻만 모를 뿐 아니라 어떤 것인지도 알 수 없었다. 검고 넓은 것밖에는 그 꿈의 인상이라고는 순애의 머리에 남은 것은 없다. 그는 슬펐다. 그는 무서웠다. 그 꿈의 인상의 남은 것의 변화는 이것뿐이다. 탁탁 가슴에 치받치는 울음을 한참 운 뒤에 눈물을 거두고 그는 전등을 켰다. 눈이 부신 밝은 빛은 방안에 측 퍼져 나아가는데

논어해설

공자 | 도디드 | 1,000원 구매
0 0 3,978 2 0 423 2013-12-26
쌓아올려 장례의 방향을 뚜렷하게 잡아 놓았던 것이다. '논어'는 공자의 언행을 주로 하고 그의 문도들의 그것도 다소 곁들인 책이다. 공자의 언행은 '논어' 이외의 전적에도 많이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논어'는 공자의 제자 내지 재전제자(再傳弟子), 즉 공자를 받드는 전통파에서 정리를 가해서 엮어낸 것이어서 공자를 이해하는 데 가장 적절한 기록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논어'는 오경(五經)의 관건이고 육예(六藝)의 본령이다." 조기(趙技)가 그의 '맹자제사(孟子題辭)'에서 한 말이다. 공자가 수립한 유학은 그 기본정신을 오경에서 도출하였고 육예를 그 수련과목으로 삼았다고 할 수 있다. 공자가 오경과 육예를 어떻게 수기치인(修己治人)의 도와 연결시켜 그 ..

백치 아다다 외

계용묵 | 도디드 | 1,000원 구매
0 0 860 8 0 47 2013-12-25
1935년 5월 <조선문단>에 발표. 흔히 계용묵을 '인생파 작가'라고 하는데 그의 문학은 물적적 소유욕이나 이념 때문에 상실해 버린, 또는 상실해 가고 있는 인간성을 회복하는데 지향점을 두고 있다.『백치 아다다』에서도 물질적 소유를 지향하고 있는 수롱이의 삶과 진실한 행복을 희구하는 아다다의 삶을 통해 인간의 참다운 가치에 대한 진지한 질문을 던지고 있다. 이 작품은 작가의 고향과 가까운 곳에 있는 신미도를 중심으로 한 평안도 선천 지방의 벙어리 이야기를 모태로 하였다. '확실이'라는 이름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벙어리이기 때문에 '아다다'란 별명이 오히려 이름이 되어 버린 비극의 여인에 관한 이야기다. 벙어리이며 백치이기에 구박과 천대를 받으며 살지만 정신..

인간문제: 강경애 작품집

강경애 | 도디드 | 1,500원 구매
0 0 831 21 0 69 2013-12-25
1934년 <동아일보>에 연재된 장편소설이다. 연재 직전 작가는 "이 시대에 있어서 인간의 문제를 해결할 인간이 누구며, 그 인간으로서의 갈 바를 지적하려 했다."고 밝혔다. 일제 강점기의 농민과 노동자가 얼마나 비참한 삶을 살았던가를 보여 주고, 그 고통과 비극은 우리 모두의 문제임을 제시하고 있다. 이 작품은 항일 투쟁을 직접 다룰 수 없는 상황에서 농민 운동과 노동 쟁의의 문제를 정면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그 여자의 일생: 회광편

이광수 | 도디드 | 1,000원 구매
0 0 718 2 0 67 2013-12-02
춘원 이광수 원작의 ‘그 여자의 일생’은 장편의 멜로소설로 1934년부터 조선일보에 연재된 소설작품입니다. 소설보다는 오히려 영화를 각색한 수작의 작품으로 더 많이 알려진 이 소설은, 한 여인의 평범한 인생과정을 통해 겪는 파란만장한 삶의 과정을 나타내 주고 있는 작품으로 불행한 가정 형편 때문에 삐뚤어진 가정사 속에 한 여자가 가야 할 인생 역정이 결국 파멸로 점철되어가는 인생드라마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소설은 각각「處女篇[처녀편],「戀愛篇[연애편],「婚姻篇[혼인편],「放浪篇[방랑편],「徽悔篇[참회편]의 상·하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원문에 따르다 보니 현재의 맞춤법과 문체에서 많은 상이함이 있습니다.

그 여자의 일생: 방랑편

이광수 | 도디드 | 1,000원 구매
0 0 511 2 0 26 2013-12-02
춘원 이광수 원작의 ‘그 여자의 일생’은 장편의 멜로소설로 1934년부터 조선일보에 연재된 소설작품입니다. 소설보다는 오히려 영화를 각색한 수작의 작품으로 더 많이 알려진 이 소설은, 한 여인의 평범한 인생과정을 통해 겪는 파란만장한 삶의 과정을 나타내 주고 있는 작품으로 불행한 가정 형편 때문에 삐뚤어진 가정사 속에 한 여자가 가야 할 인생 역정이 결국 파멸로 점철되어가는 인생드라마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소설은 각각「處女篇[처녀편],「戀愛篇[연애편],「婚姻篇[혼인편],「放浪篇[방랑편],「徽悔篇[참회편]의 상·하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원문에 따르다 보니 현재의 맞춤법과 문체에서 많은 상이함이 있습니다.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