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1777

World Literature Collections 06: For Whom the Bell Tolls - BOOK IV

Ernest Miller Hemingway | 도디드 | 1,000원 구매
0 0 369 14 0 16 2015-05-09
For Whom the Bell Tolls is a novel by Ernest Hemingway published in 1940. It tells the story of Robert Jordan, a young American in the International Brigades attached to a republican guerrilla unit during the Spanish Civil War. As a dynamiter, he is assigned to blow up a bridge during an attack on the city of Segovia. The novel is regarded as one of Hemingway's best works, alon..

World Literature Collections 01: The Old Man and the Sea

Ernest Miller Hemingway | 도디드 | 1,000원 구매
0 0 715 2 0 16 2015-05-07
The Old Man and the Sea is the story of a battle between an old, experienced fisherman, Santiago, and a large marlin. The novel starts by telling the reader that Santiago has gone 84 days without catching a fish, considered "salao", the worst form of unluckiness. He is so unlucky that his young apprentice, Manolin, has been forbidden by his parents to sail with him and been tol..

World Literature Collections 02: A Farewell to Arms

Ernest Hemingway | 도디드 | 2,000원 구매
0 0 617 6 0 14 2015-05-07
A Farewell to Arms is a novel by Ernest Hemingway set during the Italian campaign of World War I. The book, published in 1929, is a first-person account of American Frederic Henry, serving as a Lieutenant ("Tenente") in the ambulance corps of the Italian Army. The title is taken from a poem by 16th-century English dramatist George Peele. A Farewell to Arms is about a love af..

솥 금

김유정 | 도디드 | 500원 구매
0 0 506 3 0 88 2014-09-22
김유정의 단편소설이다. 들고 나갈거라곤 인제 매함지박과 키 조각이 있을 뿐이다. 근식은 아내의 눈치를 살피고 있다. 전부터 미뤄오던 호포를 독촉하러 면서기가 왔던 것을 남편이라고 모르는 바는 아니었다. 그러나 왜 그놈을 방으로 불러들였냐고 눈을 부르뜨지 않을 수 없었다. 아이에게 감자를 구워 먹이고 있는 아내는 어이없는 일이라 기가 콕 막힌 모양이었다.

안돌아오는 사자

김동인 | 도디드 | 500원 구매
0 0 384 2 0 52 2014-09-12
김동인의 단편소설이다. "또 한 놈—." "금년에 들어서도 벌서 네 명짼가 보오이다. " "그런 모양이다. 하하하하," 용마루가 더룽더룽 울리는 우렁찬 웃음소리다. "어리석은 놈들, 무얼 하러 온담." 저편 한길에 활을 맞아 죽은 사람을 누각에서 내려다보며 호활하게 웃는 인물. 비록 호활한 웃음을 웃는다 하나, 그 뒤에는 어디인지 모를 적적미가 감추어 있었다. 칠십에 가까운 듯하나 그 안색의 붉고 윤택 있는 점으로든지 자세의 바른 점으로든지 음성의 우렁찬 점으로든지 아직 젊은이를 능가할 만한 기운이 넉넉하게 보였다. "이제도 또 문안사(問安使)가 오리이까?" "또 오겠지. 옥새(玉璽)가 내 손에 있는 동안은 연달아 오겠지." ..

한국문학전집100: 민족의 죄인

채만식 | 도디드 | 1,000원 구매
0 0 500 2 0 71 2014-04-14
채만식(蔡萬植)이 지은 중편소설. 1948년 10월『백민(白民)』 추계특집호(秋季特輯號)에 그 전반부가 발표되었고, 이어 1949년 1월 신년특대호(新年特大號)에 그 후반부가 발표되었다. 광복 후의 일제의 문화적 잔재를 비판하는 풍조와 함께 친일 행위에 대한 개념규정, 아울러 당대 지식인의 고뇌 등을 다루었으며, 자기반성을 심도 있게 해부한 일종의 자전적 소설의 성격을 지닌다.

한국문학전집99: 냉동어

채만식 | 도디드 | 1,000원 구매
0 0 482 7 0 48 2014-04-15
『냉동어』는 1940년 4월부터 5월까지 <인문평론>에 발표된 채만식의 <냉동어>를 저본으로 삼은 책이다. 일제 말의 질곡 속에서 행동의 자유를 잃고 시체가 되어가는 지식인과 조선인을 '냉동어'로 표현하고, 소설 속 딸의 이름으로 지은 '문증상'은 맑은 절개와 맑은 충성을 함축하여 표현하며 작가의 신념과 항일 투쟁 의지를 보여주고자 하였다. 채만식의 문학을 이해하는 것은 물론, 작가에 대한 정확한 역사적·문학적 평가를 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한국문학전집98: 미스터 방

채만식 | 도디드 | 500원 구매
0 0 707 2 0 151 2014-04-15
해방 직후의 사회를 배경으로 '방삼복'이라는 인물이 '미스터 방'이 되는 과정을 사실적이면서 풍자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해방 공간은 우리의 역사적인 현실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데, 일제의 무단통치로 벗어났다고 하는 긍정적인 의미만을 지니지 않는다. 강대국 열강의 개입이 혼탁한 사회 현실을 반영하는 사례 중 하나일 것이다. 이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 또한 그러한 현실을 살아가는 여러 군상 중 하나가 된다. 보잘것없는 처지의 방삼복이 기회를 틈타 권세를 누리는 것이나, 친일 행위를 하던 백 주사가 미스터 방에게 머리를 숙이는 상황 등은 당시의 부정적인 인간형을 풍자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한국문학전집97: 산골나그네

김유정 | 도디드 | 500원 구매
0 0 574 2 0 79 2014-04-15
김유정(金裕貞.1908∼1937)이 지은 단편소설. 1933년 3월 [제일선(第一線)] 제3권 제3호에 발표되었고, 1936년 [서해공론]에 발표되었으며, 그 뒤 1938년에 간행된 단편집 <동백꽃>에 다시 수록되었다. 이 작품은 작자가 그의 고향인 실레 마을에서 십리쯤 떨어진 덕두원에 있는 돌쇠네 집에 놀러 다니며 돌쇠 어머니로부터 들은 이야기를 작품화한 것이다. 줄거리가 몇 가지 수긍하기 어려운 점이 있는 등 완벽하지 못한 채 끝나는, 비록 미숙한 초기 작품이지만 토착적인 우리말의 적절한 구사, 풍부한 어휘, 그리고 분위기 전달 능력 등 농촌소설의 전형을 묘사하는 여러 가지 김유정만의 미덕이 엿보이는 작품이다.

한국문학전집96: 총각과 맹꽁이

김유정 | 도디드 | 500원 구매
0 0 664 2 0 54 2014-04-15
김유정의 단편소설이다. 잎잎이 비를 바라나 오늘도 그렇다. 풀잎은 먼지가 보얗게 나풀거린다. 말뚱한 하늘에는 불더미 같은 해가 눈을 크게 떴다. 땅은 닳아서 뜨거운 김을 턱밑에다 풍긴다. 호미를 옮겨 찍을적마다 무더운 숨을 헉헉 뿜는다. 가물에 조잎은 앤생이다. 가끔 엎드려 김매는 이의 코며 눈퉁이를 찌른다. 호미는 퉁겨지며 쨍 소리를 때때로 낸다. 곳곳이 박힌 돌이다. 예사밭이면 한번 찍어 넘길 걸 서너 번 안하면 흙이 일지 않는다. 콧등에서, 턱에서 땀은 물 흐르듯 떨어지며 호미자루를 적시고 또 흙에 스민다. 그들은 묵묵하였다. 조밭 고랑에 쭉 늘어 박혀서 머리를 숙이고 기어갈뿐이다. 마치 땅을 파는 두더지처럼······.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kr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