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1 0 0 12 73 0 8년전 0

문예작품의 영화화 문제 (한국문학전집: 심훈 05)

요사이 조선영화계에도 문예작품의 영화화 문제가 대두하는 모양이요 몇 해 전의 〈개척자〉를 위시하여 〈유랑〉〈벙어리 삼룡〉, 최근에는 〈약혼〉 등이 제작되었다. 〈춘향전〉〈심청전〉〈장화홍련전〉 따위는 고대의 대중소설이라고 칠 것이므로 문제 밖으로 삼고라도 근래에 와서 문예작가들의 소설을 원작으로 삼아가지고 영화화하려는 경향이 보이는 것이다. 나는 제작자들이나 또는 돈벌이를 먼저 염두에 두는 흥행업자들이 문예작품이나 유행소설을 각색해가지고 활동사진으로 박으려는 심리를 세 가지로 해석한다. 첫째는 신문이나 잡지에 연재되었던 소설은 이미 그 내용을 알고 그 중에도 애독한 작품이면 누구나 다시 한 번 다른 형식으로 써보고자 하는 애착심이나 호기심을 포착해가지고 수십 만 혹은 수백 만이나 되는 달아나지 않는 고정된 ..
요사이 조선영화계에도 문예작품의 영화화 문제가 대두하는 모양이요 몇 해 전의 〈개척자〉를 위시하여 〈유랑〉〈벙어리 삼룡〉, 최근에는 〈약혼〉 등이 제작되었다. 〈춘향전〉〈심청전〉〈장화홍련전〉 따위는 고대의 대중소설이라고 칠 것이므로 문제 밖으로 삼고라도 근래에 와서 문예작가들의 소설을 원작으로 삼아가지고 영화화하려는 경향이 보이는 것이다.
나는 제작자들이나 또는 돈벌이를 먼저 염두에 두는 흥행업자들이 문예작품이나 유행소설을 각색해가지고 활동사진으로 박으려는 심리를 세 가지로 해석한다. 첫째는 신문이나 잡지에 연재되었던 소설은 이미 그 내용을 알고 그 중에도 애독한 작품이면 누구나 다시 한 번 다른 형식으로 써보고자 하는 애착심이나 호기심을 포착해가지고 수십 만 혹은 수백 만이나 되는 달아나지 않는 고정된 독자를 끌어서 급조로 영화 팬을 만들려는 데 있다.
1915년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하였고, 1917년 왕족인 이해영(李海暎)과 혼인하였다. 1919년 3·1운동에 가담하여 투옥, 퇴학당하였다. 1920년 중국으로 망명하여 1921년 항저우(杭州) 치장대학(之江大學)에 입학하였다.

1923년 귀국하여 연극·영화·소설집필 등에 몰두하였는데 처음에는 특히 영화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1924년 이해영과 이혼하였고 같은 해 동아일보사에 입사하였다. 1925년 조일제(趙一齊) 번안의 「장한몽(長恨夢)」이 영화화될 때 이수일(李守一)역으로 출연하였고, 1926년 우리 나라 최초의 영화소설 「탈춤」을 『동아일보』에 연재하기도 하였다.

이듬해 도일하여 본격적인 영화수업을 받은 뒤 귀국하여 영화 「먼동이 틀 때」를 원작집필·각색·감독으로 제작하였으며 이를 단성사에서 개봉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식민지 현실을 다루었던 이 영화는 「어둠에서 어둠으로」라는 제목이 말썽을 빚자 개작한 작품이며 영화제작은 이것으로 마지막이었다.

그 뒤 1928년 조선일보사에 다시 입사하였고, 1930년 안정옥(安貞玉)과 재혼하였다. 1931년 경성방송국(京城放送局)으로 옮겼으나 사상 문제로 곧 퇴직하였다. 1932년 고향인 충청남도 당진으로 낙향하여 집필에 전념하다가 이듬해 상경하여 조선중앙일보사에 입사하였으나 다시 낙향하였다. 1936년 장티푸스로 사망하였다.

영화 「먼동이 틀 때」가 성공한 이후 그의 관심은 소설 쪽으로 기울었다. 1930년 『조선일보』에 장편 「동방(東方)의 애인(愛人)」을 연재하다가 검열에 걸려 중단 당하였고, 이어 같은 신문에 「불사조(不死鳥)」를 연재하다가 다시 중단 당하였다. 같은 해 시 「그날이 오면」을 발표하였는데 1932년 향리에서 시집 『그날이 오면』을 출간하려다 검열로 인하여 무산되었다(이는 1949년 유고집으로 출간되었다.).

1933년 장편 「영원(永遠)의 미소(微笑)」를 『조선중앙일보(朝鮮中央日報)』에 연재하였고, 단편 「황공(黃公)의 최후(最後)」를 탈고하였다(발표는 1936년 1월 신동아). 1934년 장편 「직녀성(織女星)」을 『조선중앙일보』에 연재하였으며 1935년 장편 「상록수(常綠樹)」가 『동아일보』창간15주년 기념 장편소설 특별공모에 당선, 연재되었다.

「동방의 애인」·「불사조」 등 두 번에 걸친 연재 중단사건과 애국시 「그날이 오면」에서 알 수 있듯이 그의 작품에는 강한 민족의식이 담겨 있다. 「영원의 미소」에는 가난한 인텔리의 계급적 저항의식, 식민지 사회의 부조리에 대한 비판정신, 그리고 귀농 의지가 잘 그려져 있으며 대표작 「상록수」에서는 젊은이들의 희생적인 농촌사업을 통하여 강한 휴머니즘과 저항의식을 고취시킨다.

행동적이고 저항적인 지성인이었던 그의 작품들에는 민족주의와 계급적 저항의식 및 휴머니즘이 기본정신으로 관류하고 있다. 특히, 농민계몽문학에서 이후의 리얼리즘에 입각한 본격적인 농민문학의 장을 여는 데 크게 공헌한 작가로서 의의를 지닌다.

[네이버 지식백과] 심훈 [沈熏]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net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